요즘 투자처가 마땅치 않다 보니 채권에 투자하는 개인들도 많아 지고 있습니다.
채권 투자의 장점이라면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것이겠죠.
채권이란 내가 돈을 빌려주고, 정기적으로 정해진 이자를 받고,
만기일이 되면 빌려주었던 원금을 다시 그대로 돌려받기로 서로 약속한 증서입니다.
그렇기에 돈을 빌려준 회사가 망하지 않는 이상 이자와 원금을 받을 수 있는 안정성이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약간의 리스크는 있기 때문에 금리도 은행의 예금보다는 높은 것이 일반적이죠.
(딱 그 리스크 만큼 금리가 높습니다)
이러한 채권의 특성 때문에 채권에 투자를 할 때는 몇 가지 키워드는 반드시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자 지급, 만기일, 수익률
정도만 잘 기억하시면 됩니다.
특히, 수익률은 잘 따져보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첫째. 채권은 내가 매수한 가격과 발행가격은 차이가 있다.
둘째. 채권 이자에도 세금이 붙는다.
이유 때문입니다.
저도 얼마전에 한국전력 1125(KR350117GC69) 채권을 매수했습니다.
해당 채권은 22.6.29일 발행해서 24.6.29일 만기되는 2년짜리 채권입니다.
![한국전력 1225(KR350117GC69) 채권](https://blog.kakaocdn.net/dn/d2ZBJ2/btrRoz4Ns1E/7K89fC7M5HEsjLiFMLiCVk/img.jpg)
이 채권의 발행 정보를 보시면
세전수익률(연) 5.3%,
세후수익률(연) 4.61%,
발행이율 4.22%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세전, 세후, 발행이율??? 이름만 들어도 뭔가 복잡해 보이죠.
하지만 내가 실제로 이자로 받는 돈이 5.3% 인지, 4.61% 인지, 4.22% 인지 확실히 알아야 투자를 할 수 있겠죠?
따지고 보면 그닥 어렵지 않습니다.
차근차근 계산해 보겠습니다.
(계산의 편의상 100만원을 투자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한국전력 1225(KR350117GC69) 채권 발행정보](https://blog.kakaocdn.net/dn/QY1JE/btrRnEsgDHE/3l0Z9NbXwBHlVHmKzpGBY1/img.jpg)
먼저 이 채권을 매수했을때 내가 받을 수 있는 이자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자는 한국전력에서 이 채권을 발행할 때 정한 이율,
즉, 발행이율로 딱 고정해서 줍니다.
이 채권은 연 4.22%의 이율로 6개월마다 이자를 주는 채권이므로
액면금액 100만원 x 4.22% ÷ 2 = 2.11만원
이자를 6개월마다 받습니다.
포스팅 글을 쓰고 있는 오늘('22.11.17일) 이 채권을 매수했다고 가정했을 때
앞으로 약 2년간 받을 이자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한국전력 채권 이자 및 세금 계산](https://blog.kakaocdn.net/dn/0Yzwx/btrRnFdJnFP/R77A12yWrmSQafu7YSHrC1/img.jpg)
참고로, 채권 이자에 대한 세금을 산정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채권 이자에도 세금을 뗍니다.
총 15.4%(소득세 14%, 지방소득세) 인데요.
기억할 점이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채권 이자는 채권을 보유한 기간에 비례한다.
두 번째. 이자의 원 단위는 절사(버림) 한다.
이제, 한국은행 채권의 첫 번째 지급받는 이자('22.12.29일)에 대해 계산해 보겠습니다.
'22.11.17일 매수한 채권의 경우 이자를 '22.12.29일 날 받기 때문에
총 이자지급 기간 183일 중 42일 동안 채권을 보유하게 됩니다.
① 보유기간이자에 14%(소득세율)을 곱합니다.
(21,100원 x 14% x 42일/183일 = 677원)
② 계산된 소득세에서 원 단위를 절사(버림)합니다.
(소득세 = 670원)
③ 원 단위 절사한 소득세에 10%(지방소득세율)을 곱합니다.
(670원 x 10% = 67원)
④ 계산된 지방소득세에서 원 단위를 절사(버림)합니다
(지방소득세 = 60원)
⑤ 총 세금 = 소득세 + 지방소득세를 계산합니다.
(670원 + 60원 = 730원)
나머지 기간의 이자에 대한 세금도 쉽게 구할 수 있겠죠? ^^
이제 수익률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그럼 저는 만기일에 원금 100만원과 함께
세전 8.44만원, 세후 7.395만원 이자를 수익으로 얻게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이 채권의 매매단가는 9,996원이기 때문에
저는 100만원짜리 돌려받는 채권을 99.96만원에 매수를 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만기 시에 0.04만원의 차익도 추가로 얻을 수 있습니다.
(세전) 총 투자수익률 = 총 세전 수익 ÷ 총 투자금액
= (8.44만원+0.04만원) ÷ 99.96만원
= 8.48%
(세후) 총 투자수익률 = 총 세후 수익 ÷ 총 투자금액
= (7.395만원+0.04만원) ÷ 99.96만원
= 7.44%
입니다.
이것은 1년 225일(1.616년) 동안의 총 수익률 이므로
연간 평균수익률로 환산하면
(세전) 8.48% ÷ 1.616년 = 5.25%
(세후) 7.44% ÷ 1.616년 = 4.60%
가 됩니다.
즉, 채권발행 정보에 나와 있는
표면이자, 연평균수익률(세전), 연평균수익률(세후) 과 동일하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4.gif)
어떤가요? 채권 투자 수익률 구하기가 복잡한가요?
그런데, 이렇게 직접 계산하는 수고스러움을 덜어주기 위해
키움 영웅문 MTS에서는 가상매매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주아주 간단합니다.
채권 메뉴에서 해당 채권의 가상매매를 선택합니다.
![키움 영웅문 MTS 채권](https://blog.kakaocdn.net/dn/b1v7Kp/btrRoQ6z1Iz/CKDsnleUCMAK19ykJybbdK/img.jpg)
간단하게 매매수량을 입력하고, 조회를 누릅니다
(저는 위의 계산과 마찬가지로 100만원을 입력했습니다)
![채권 가상매매 조건 입력 화면](https://blog.kakaocdn.net/dn/45KIx/btrRpoBZZVJ/fKysoYkgkgvo70ziYCxyG0/img.jpg)
그러면 아래의 그림처럼 아주 친절하게
수익률을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
![영웅문 채권 가상매매 조회 결과](https://blog.kakaocdn.net/dn/bhhE5O/btrRnwBjPaO/DraAkHc8Vc6b8wH7CZwND0/img.jpg)
너무 편리하죠? ^^
그렇기에 채권 이자나 세금 등을 직접 손으로 계산해볼 필요는 없습니다.
궁금하시면 영웅문 MTS에서 채권 가상매매 기능을 활용하시면 되구요,
그것도 귀찮으신 분들은 그냥
연평균수익률(세후) ← 요것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부세 조회 방법 종합부동산세 대상과 세부 내역 확인하기 (3) | 2022.11.22 |
---|---|
달러 엔화 투자 방법 키움 환율 우대로 달러 엔화 싸게 사기 (4) | 2022.11.18 |
파킹 통장 금리 높은 곳(2022.11월 기준) 찾아 은행 쇼핑하기 (1) | 2022.11.16 |
알아두면 쓸데없는 국채 이름에 숨겨진 비밀 (4) | 2022.11.15 |
예금 금리 높은 곳(2022.11월 기준) 이자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3)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