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카오 창업 히스토리
카카오 그룹의 창업자는 김범수 의장이다.
그는 대학교를 졸업한 후 삼성SDS에 입사(1992년)했고,
이후 90년대말 PC방과 온라인 게임 열풍이 불자 한양대학교 앞에 대형 PC방을 창업(1998년)한다.
또한 같은해 現 네이버 사항인 이해진과 함께 한게임을 창업(1998년)했고, 이후 NHN의 공동대표가 된다.
2007년에는 대표직을 그만두고 미국으로 가게 되는데(이유는 여러가지 SSUL이 있음)...
이때 애플의 iPhone이 출시되는 것을 보며 앞으로는 PC시대에서 모바일 시대로 전환될 것을 전망, 현재의 카카오톡을 창업하게 된다.
2. 카카오의 이점
아마도 대한민국에서 카카오의 서비스를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메신져에서 부터 카카오게임, 페이, 뱅크, 교통 등 우리는 일상에서 늘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함께하고 있다.
카카오는 특히 서비스 분야에서 그간 비효율적이었던 요소를 효율적으로 전환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일각에서 골곡상권 침해라는 비난도 있지만 미용실/꽃집/음식점 등 소상공인들이 고객에서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구축/투자해야 했던 광고/결제/물류(배달) 등을 큰 비용투자 없이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해줬다.
또한, 회사의 업무(비지니스) 영역에서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도와준 측면이 분명히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TmmIA/btrOZIRtz42/UkmoWcyGKIsgL3nFpRfeqK/img.jpg)
3. 카카오 주가의 한계
카카오가 우리 생활에 주는 편리함과는 별개로 카카오 그룹의 주가가 앞으로도 상승할 것이냐? 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다소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다.
실제로 올해 연초대비 주가가 카카오 -56%, 카카오케임즈 -57%, 카카오뱅크 -71%, 카카오페이 -79% 로 굉장히 좋지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말이 -79% 이지, 100만원 → 20만원 됐다는거... ㅠ.ㅠ)
![](https://blog.kakaocdn.net/dn/LmqxR/btrOZH556sF/kzE2jLT7w94ehM8VCTKhc0/img.jpg)
특히, 지난 주말에 있었던 SK C&C 화재와 이로 인한 카카오 먹통 사태?와 맞물려서 카카오의 독점적 구조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주가의 하락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상황.
언론과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카카오의 독점과는 별개로 카카오 사업 확장성 & 지배구조에도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Yoybp/btrOZJiytxR/kL4FItW0WW3MYmBAb8HNA0/img.png)
① 국내사업 확장의 한계
어제오늘 이야기가 아니지만 카카오의 골목상권 침해에 대한 이슈는 지속 제기되어 왔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사업 초기와 달리 국내 사업 확장을 거의 못하고 있다.
사업 초기 카카오가 손만 대면 성공했고, 그것에 국민들과 주주들은 열광했지만,
이제는 국내에서 사업 확장에 대한 측면을 거의 기대하기 힘들다
② 해외사업 확장의 한계
카카오는 많은 사업을 하고 있고, 수많은 계열사/관계사를 거느리고 있지만
해외에서 매출을 기대할 수 있는 분야는 웹툰 정도가 유일하다.
웹툰은 사실상 우리나라가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분야이기 때문에 가능하겠지만,
다른 분야는 해외 현지에서 이미 지배적/독점적으로 자리잡은 빅테크 서비스의 틈바구니를 비집고 들어가는 것이 대단히 어려울 것이다.
③ 카카오 뱅크 vs. 페이 한계
물론 카카오뱅크와 페이 모두 엄청 잘하고 있고, 대단한 서비스들이다.
다만, 카카오뱅크의 수익구조를 보면 이자수익의 비중이 약 80%로 기존의 전통적인 은행들과 다를바가 없다.
즉, 카카오뱅크가 플랫폼으로서 기존 은행들에 비해 높게 평가 받을 이유가 없다는 것.
또한, 카카오페이도 국내에는 개인의 신용평가 체계가 아주 잘 구축되어 있는 현실에서 단순 결제 서비스외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만만치 않다.
결국, 그렇게 되면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가 기존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사업 영역의 중복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카카오뱅크 vs 페이 회사의 주주가 서로 다른 상황에서 지배구조에도 문제 제기가 있을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GuSe9/btrO2WgaUbA/lTnkCyy5LKCL19zPA2gMw0/img.jpg)
카카오가 우리 생활에 주는 편리함은 대단하다.
하지만 그와 별개로 카카오 그룹의 주가가 이전으로 회복할 수 있을 것인가는 고민해봐야 할 문제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한 채권시장 당국의 강한 조치가 필요한 때 (6) | 2022.10.22 |
---|---|
장외주식시세 확인하고 안전하게 거래하세요! (6) | 2022.10.20 |
주식 수수료 무료 증권사 비교해서 골라 선택하자(22.10월 기준) (7) | 2022.10.19 |
테슬라의 재고 증가 소식과 주가 (0) | 2022.10.18 |
미국 CPI 충격에도 나스닥 증시 급반등 이유(2022.10.14) (0) | 2022.10.14 |